728x90

구현 32

[백준 16234번] 인구 이동 (Python)

> 파이썬, 구현, 그래프 이론, 그래프 탐색, 시뮬레이션, 너비 우선 탐색 📖 문제 : 인구 이동 (Python) N×N크기의 땅이 있고, 땅은 1×1개의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각각의 땅에는 나라가 하나씩 존재하며, r행 c열에 있는 나라에는 A[r][c]명이 살고 있다. 인접한 나라 사이에는 국경선이 존재한다. 모든 나라는 1×1 크기이기 때문에, 모든 국경선은 정사각형 형태이다. 오늘부터 인구 이동이 시작되는 날이다. 인구 이동은 하루 동안 다음과 같이 진행되고, 더 이상 아래 방법에 의해 인구 이동이 없을 때까지 지속된다. 국경선을 공유하는 두 나라의 인구 차이가 L명 이상, R명 이하라면, 두 나라가 공유하는 국경선을 오늘 하루 동안 연다. 위의 조건에 의해 열어야하는 국경선이 모두 열렸다면,..

[백준 10810번] 공 넣기 (Python)

> 파이썬, 구현, 시뮬레이션 📖 문제 : 공 넣기 (Python) 도현이는 바구니를 총 N개 가지고 있고, 각각의 바구니에는 1번부터 N번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다. 또, 1번부터 N번까지 번호가 적혀있는 공을 매우 많이 가지고 있다. 가장 처음 바구니에는 공이 들어있지 않으며, 바구니에는 공을 1개만 넣을 수 있다. 도현이는 앞으로 M번 공을 넣으려고 한다. 도현이는 한 번 공을 넣을 때, 공을 넣을 바구니 범위를 정하고, 정한 바구니에 모두 같은 번호가 적혀있는 공을 넣는다. 만약, 바구니에 공이 이미 있는 경우에는 들어있는 공을 빼고, 새로 공을 넣는다. 공을 넣을 바구니는 연속되어 있어야 한다. 공을 어떻게 넣을지가 주어졌을 때, M번 공을 넣은 이후에 각 바구니에 어떤 공이 들어 있는지 구하는 ..

[백준 16236번] 아기상어 (Python)

> 파이썬, 구현, 그래프 이론, 그래프 탐색, 시뮬레이션, 너비 우선 탐색 📖 문제 : 아기상어 (Python) N×N 크기의 공간에 물고기 M마리와 아기 상어 1마리가 있다. 공간은 1×1 크기의 정사각형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한 칸에는 물고기가 최대 1마리 존재한다. 아기 상어와 물고기는 모두 크기를 가지고 있고, 이 크기는 자연수이다. 가장 처음에 아기 상어의 크기는 2이고, 아기 상어는 1초에 상하좌우로 인접한 한 칸씩 이동한다. 아기 상어는 자신의 크기보다 큰 물고기가 있는 칸은 지나갈 수 없고, 나머지 칸은 모두 지나갈 수 있다. 아기 상어는 자신의 크기보다 작은 물고기만 먹을 수 있다. 따라서, 크기가 같은 물고기는 먹을 수 없지만, 그 물고기가 있는 칸은 지나갈 수 있다. 아기 상어가 ..

[백준 23288번] 주사위 굴리기 2 (Python)

> 파이썬, 구현, 그래프 이론, 그래프 탐색, 시뮬레이션, 너비 우선 탐색 📖 문제 : 주사위 굴리기 2 (Python) 크기가 N×M인 지도가 존재한다. 지도의 오른쪽은 동쪽, 위쪽은 북쪽이다. 지도의 좌표는 (r, c)로 나타내며, r는 북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 c는 서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이다. 가장 왼쪽 위에 있는 칸의 좌표는 (1, 1)이고, 가장 오른쪽 아래에 있는 칸의 좌표는 (N, M)이다. 이 지도의 위에 주사위가 하나 놓여져 있으며, 주사위의 각 면에는 1보다 크거나 같고, 6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가 하나씩 있다. 주사위 한 면의 크기와 지도 한 칸의 크기는 같고, 주사위의 전개도는 아래와 같다. 2 4 1 3 5 6 주사위는 지도 위에 윗 면이 1이고, 동쪽을 바라보는 ..

[백준 21610번] 마법사 상어와 비바라기 (Python)

> 파이썬, 구현, 시뮬레이션 📖 문제 : 마법사 상어와 비바라기 (Python) 마법사 상어는 파이어볼, 토네이도, 파이어스톰, 물복사버그 마법을 할 수 있다. 오늘 새로 배운 마법은 비바라기이다. 비바라기를 시전하면 하늘에 비구름을 만들 수 있다. 오늘은 비바라기를 크기가 N×N인 격자에서 연습하려고 한다. 격자의 각 칸에는 바구니가 하나 있고, 바구니는 칸 전체를 차지한다. 바구니에 저장할 수 있는 물의 양에는 제한이 없다. (r, c)는 격자의 r행 c열에 있는 바구니를 의미하고, A[r][c]는 (r, c)에 있는 바구니에 저장되어 있는 물의 양을 의미한다. 격자의 가장 왼쪽 윗 칸은 (1, 1)이고, 가장 오른쪽 아랫 칸은 (N, N)이다. 마법사 상어는 연습을 위해 1번 행과 N번 행을 연결..

[백준 14890번] 경사로 (Python)

> 파이썬, 구현 📖 문제 : 경사로 (Python) 크기가 N×N인 지도가 있다. 지도의 각 칸에는 그 곳의 높이가 적혀져 있다. 오늘은 이 지도에서 지나갈 수 있는 길이 몇 개 있는지 알아보려고 한다. 길이란 한 행 또는 한 열 전부를 나타내며, 한쪽 끝에서 다른쪽 끝까지 지나가는 것이다. 다음과 같은 N=6인 경우 지도를 살펴보자. 이때, 길은 총 2N개가 있으며, 아래와 같다. 길을 지나갈 수 있으려면 길에 속한 모든 칸의 높이가 모두 같아야 한다. 또는, 경사로를 놓아서 지나갈 수 있는 길을 만들 수 있다. 경사로는 높이가 항상 1이며, 길이는 L이다. 또, 개수는 매우 많아 부족할 일이 없다. 경사로는 낮은 칸과 높은 칸을 연결하며, 아래와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한다. 경사로는 낮은 칸에 놓으며..

[백준 3190번] 뱀 (Python)

> 파이썬, 구현, 자료 구조, 시뮬레이션, 덱, 큐 📖 문제 : 뱀 (Python) 'Dummy' 라는 도스게임이 있다. 이 게임에는 뱀이 나와서 기어다니는데, 사과를 먹으면 뱀 길이가 늘어난다. 뱀이 이리저리 기어다니다가 벽 또는 자기자신의 몸과 부딪히면 게임이 끝난다. 게임은 NxN 정사각 보드위에서 진행되고, 몇몇 칸에는 사과가 놓여져 있다. 보드의 상하좌우 끝에 벽이 있다. 게임이 시작할때 뱀은 맨위 맨좌측에 위치하고 뱀의 길이는 1 이다. 뱀은 처음에 오른쪽을 향한다. 뱀은 매 초마다 이동을 하는데 다음과 같은 규칙을 따른다. 먼저 뱀은 몸길이를 늘려 머리를 다음칸에 위치시킨다. 만약 벽이나 자기자신의 몸과 부딪히면 게임이 끝난다. 만약 이동한 칸에 사과가 있다면, 그 칸에 있던 사과가 없어지..

[백준 13460번] 구슬 탈출 2 (Python)

> 파이썬, 구현, 그래프 이론, 그래프 탐색, 시뮬레이션, 너비 우선 탐색 📖 문제 : 구슬 탈출 2 (Python) 스타트링크에서 판매하는 어린이용 장난감 중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제품은 구슬 탈출이다. 구슬 탈출은 직사각형 보드에 빨간 구슬과 파란 구슬을 하나씩 넣은 다음, 빨간 구슬을 구멍을 통해 빼내는 게임이다. 보드의 세로 크기는 N, 가로 크기는 M이고, 편의상 1×1크기의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가장 바깥 행과 열은 모두 막혀져 있고, 보드에는 구멍이 하나 있다. 빨간 구슬과 파란 구슬의 크기는 보드에서 1×1크기의 칸을 가득 채우는 사이즈이고, 각각 하나씩 들어가 있다. 게임의 목표는 빨간 구슬을 구멍을 통해서 빼내는 것이다. 이때, 파란 구슬이 구멍에 들어가면 안 된다. 이때, 구슬을 ..

[백준 21608번] 상어 초등학교 (Python)

> 파이썬, 구현 📖 문제 : 상어 초등학교 (Python) 상어 초등학교에는 교실이 하나 있고, 교실은 N×N 크기의 격자로 나타낼 수 있다. 학교에 다니는 학생의 수는 N2명이다. 오늘은 모든 학생의 자리를 정하는 날이다. 학생은 1번부터 N2번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고, (r, c)는 r행 c열을 의미한다. 교실의 가장 왼쪽 윗 칸은 (1, 1)이고, 가장 오른쪽 아랫 칸은 (N, N)이다. 선생님은 학생의 순서를 정했고, 각 학생이 좋아하는 학생 4명도 모두 조사했다. 이제 다음과 같은 규칙을 이용해 정해진 순서대로 학생의 자리를 정하려고 한다. 한 칸에는 학생 한 명의 자리만 있을 수 있고, |r1 - r2| + |c1 - c2| = 1을 만족하는 두 칸이 (r1, c1)과 (r2, c2)를 인접..

[백준 14503번] 로봇 청소기 (Python)

> 파이썬, 구현, 시뮬레이션 📖 문제 : 로봇 청소기 (Python) 로봇 청소기와 방의 상태가 주어졌을 때, 청소하는 영역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로봇 청소기가 있는 방은 NxM 크기의 직사각형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1×1 크기의 정사각형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각각의 칸은 벽 또는 빈 칸이다. 청소기는 바라보는 방향이 있으며, 이 방향은 동, 서, 남, 북 중 하나이다. 방의 각 칸은 좌표 (r, c)로 나타낼 수 있고, 가장 북쪽 줄의 가장 서쪽 칸의 좌표가 (0, 0), 가장 남쪽 줄의 가장 동쪽 칸의 좌표가 (N-1, M-1)이다. 즉, 좌표 (r, c)는 북쪽에서 (r+1)번째에 있는 줄의 서쪽에서 (c+1)번째 칸을 가리킨다. 처음에 빈 칸은 전부 청소되지 않은 상태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