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Algorithm (Python, Java, SQL) 235

[백준 16471번] 작은 수 내기 (Python)

> 파이썬, 그리디 알고리즘, 정렬 📖 문제 : 작은 수 내기 (Python) 여자친구와 함께 보드게임카페에 간 주언이는, 여러 보드게임을 하며 데이트를 즐겼다. 3시간 커플세트로 결제를 하려던 순간, 주언이는 가격표 옆에 쓰여 있는 새로운 이벤트를 보았다. 바로 “사장님과의 게임에서 이기면 무료, 지거나 비기면 5000원 추가 지불” 이벤트였다. 보드게임에 자신이 있는 주언이는 사장님에게 게임 룰을 물어보았고, 그 룰은 다음과 같았다. 각자 N장의 카드를 받는다. (N은 홀수다) 각자 카드를 1장씩 골라서 카드에 적힌 수의 크기를 비교한다. (각 카드에 적힌 수는 0이상, 100,000이하의 정수다) 더 작은 수가 적힌 카드를 낸 사람이 1점을 얻고, 승부에 사용된 카드는 버린다. (무승부의 경우, 둘..

[백준 1911번] 흙길 보수하기 (Python)

> 파이썬, 그리디 알고리즘, 정렬, 스위핑 📖 문제 : 흙길 보수하기 (Python) 어젯밤 겨울 캠프 장소에서 월드 본원까지 이어지는, 흙으로 된 비밀길 위에 폭우가 내려서 N(1 ≤ N ≤ 10,000)개의 물웅덩이가 생겼다. 월드학원은 물웅덩이를 덮을 수 있는 길이가 L(1 ≤ L ≤ 1,000,000)인 널빤지들을 충분히 가지고 있어서, 이들로 다리를 만들어 물웅덩이들을 모두 덮으려고 한다. 물웅덩이들의 위치와 크기에 대한 정보가 주어질 때, 모든 물웅덩이들을 덮기 위해 필요한 널빤지들의 최소 개수를 구하여라. 입력 첫째 줄에 두 정수 N과 L이 들어온다. 둘째 줄부터 N+1번째 줄까지 총 N개의 줄에 각각의 웅덩이들의 정보가 주어진다. 웅덩이의 정보는 웅덩이의 시작 위치와 끝 위치로 이루어진다..

[백준 11501번] 주식 (Python)

> 파이썬, 그리디 알고리즘 📖 문제 : 주식 (Python) 홍준이는 요즘 주식에 빠져있다. 그는 미래를 내다보는 눈이 뛰어나, 날 별로 주가를 예상하고 언제나 그게 맞아떨어진다. 매일 그는 아래 세 가지 중 한 행동을 한다. 주식 하나를 산다. 원하는 만큼 가지고 있는 주식을 판다. 아무것도 안한다. 홍준이는 미래를 예상하는 뛰어난 안목을 가졌지만, 어떻게 해야 자신이 최대 이익을 얻을 수 있는지 모른다. 따라서 당신에게 날 별로 주식의 가격을 알려주었을 때, 최대 이익이 얼마나 되는지 계산을 해달라고 부탁했다. 예를 들어 날 수가 3일이고 날 별로 주가가 10, 7, 6일 때, 주가가 계속 감소하므로 최대 이익은 0이 된다. 그러나 만약 날 별로 주가가 3, 5, 9일 때는 처음 두 날에 주식을 하..

[백준 2872번] 우리집엔 도서관이 있어 (Python)

> 파이썬, 그리디 알고리즘 📖 문제 : 우리집엔 도서관이 있어 (Python) 상근이는 컴퓨터 공학의 일인자가 되기 위해 책을 매우 많이 구매했다. 하지만, 집에 책장이 없어서 책을 탑처럼 쌓아놓고 있다. 오늘은 오랜만에 상근이가 집에서 휴식을 취하는 날이다. 상근이는 책을 알파벳 순서대로 정렬하려고 한다. 사전 순으로 가장 앞서는 책은 가장 위에 놓고, 가장 뒤에 있는 책은 가장 밑에 놓아야 한다. 책을 정렬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책 하나를 뺀 다음, 가장 위에 놓는 것이다. 책은 1부터 N까지 번호가 책 이름의 사전 순으로 매겨져 있다. 1은 사전 순으로 가장 앞서는 책이다. 따라서, 위에서부터 책의 번호를 읽으면 (1, 2, ..., N)이 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책이 3권있고 처음에 ..

[백준 17609번] 회문 (Python)

> 파이썬, 문자열, 두 포인터 📖 문제 : 회문 (Python) 회문(回文) 또는 팰린드롬(palindrome)은 앞 뒤 방향으로 볼 때 같은 순서의 문자로 구성된 문자열을 말한다. 예를 들어 ‘abba’ ‘kayak’, ‘reviver’, ‘madam’은 모두 회문이다. 만일 그 자체는 회문이 아니지만 한 문자를 삭제하여 회문으로 만들 수 있는 문자열이라면 우리는 이런 문자열을 “유사회문”(pseudo palindrome)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summuus’는 5번째나 혹은 6번째 문자 ‘u’를 제거하여 ‘summus’인 회문이 되므로 유사회문이다. 여러분은 제시된 문자열을 분석하여 그것이 그 자체로 회문인지, 또는 한 문자를 삭제하면 회문이 되는 “유사회문”인지, 아니면 회문이나 유사회문도 ..

[백준 2468번] 안전 영역 (Python)

> 파이썬, 그래프 이론, 브루트포스 알고리즘, 그래프 탐색, 너비 우선 탐색, 깊이 우선 탐색 📖 문제 : 옥상 정원 꾸미기 (Python) 재난방재청에서는 많은 비가 내리는 장마철에 대비해서 다음과 같은 일을 계획하고 있다. 먼저 어떤 지역의 높이 정보를 파악한다. 그 다음에 그 지역에 많은 비가 내렸을 때 물에 잠기지 않는 안전한 영역이 최대로 몇 개가 만들어 지는 지를 조사하려고 한다. 이때, 문제를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장마철에 내리는 비의 양에 따라 일정한 높이 이하의 모든 지점은 물에 잠긴다고 가정한다. 어떤 지역의 높이 정보는 행과 열의 크기가 각각 N인 2차원 배열 형태로 주어지며 배열의 각 원소는 해당 지점의 높이를 표시하는 자연수이다. 예를 들어, 다음은 N=5인 지역의 높이 정보이..

[백준 6198번] 옥상 정원 꾸미기 (Python)

> 파이썬, 자료 구조, 스택 📖 문제 : 옥상 정원 꾸미기 (Python) 도시에는 N개의 빌딩이 있다. 빌딩 관리인들은 매우 성실 하기 때문에, 다른 빌딩의 옥상 정원을 벤치마킹 하고 싶어한다. i번째 빌딩의 키가 hi이고, 모든 빌딩은 일렬로 서 있고 오른쪽으로만 볼 수 있다. i번째 빌딩 관리인이 볼 수 있는 다른 빌딩의 옥상 정원은 i+1, i+2, .... , N이다. 그런데 자신이 위치한 빌딩보다 높거나 같은 빌딩이 있으면 그 다음에 있는 모든 빌딩의 옥상은 보지 못한다. 예) N=6, H = {10, 3, 7, 4, 12, 2}인 경우 = = = = - = = = = -> 관리인이 보는 방향 = - = = = = = = = = = 10 3 7 4 12 2 -> 빌딩의 높이 [1][2][3]..

[백준 9205번] 맥주 마시면서 걸어가기 (Python)

> 파이썬, 그래프 이론, 그래프 탐색, 너비 우선 탐색 📖 문제 : 맥주 마시면서 걸어가기 (Python) 송도에 사는 상근이와 친구들은 송도에서 열리는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에 가려고 한다. 올해는 맥주를 마시면서 걸어가기로 했다. 출발은 상근이네 집에서 하고, 맥주 한 박스를 들고 출발한다. 맥주 한 박스에는 맥주가 20개 들어있다. 목이 마르면 안되기 때문에 50미터에 한 병씩 마시려고 한다. 즉, 50미터를 가려면 그 직전에 맥주 한 병을 마셔야 한다. 상근이의 집에서 페스티벌이 열리는 곳은 매우 먼 거리이다. 따라서, 맥주를 더 구매해야 할 수도 있다. 미리 인터넷으로 조사를 해보니 다행히도 맥주를 파는 편의점이 있다. 편의점에 들렸을 때, 빈 병은 버리고 새 맥주 병을 살 수 있다. 하지만, ..

[백준 2579번] 계단 오르기 (Python)

> 파이썬,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 문제 : 계단 오르기 (Python) 계단 오르기 게임은 계단 아래 시작점부터 계단 꼭대기에 위치한 도착점까지 가는 게임이다. 과 같이 각각의 계단에는 일정한 점수가 쓰여 있는데 계단을 밟으면 그 계단에 쓰여 있는 점수를 얻게 된다. 예를 들어 와 같이 시작점에서부터 첫 번째, 두 번째, 네 번째, 여섯 번째 계단을 밟아 도착점에 도달하면 총 점수는 10 + 20 + 25 + 20 = 75점이 된다. 계단 오르는 데는 다음과 같은 규칙이 있다. 계단은 한 번에 한 계단씩 또는 두 계단씩 오를 수 있다. 즉, 한 계단을 밟으면서 이어서 다음 계단이나, 다음 다음 계단으로 오를 수 있다. 연속된 세 개의 계단을 모두 밟아서는 안 된다. 단, 시작점은 계단에 포함되지 않는다..

[백준 2193번] 이친수 (Python)

> 파이썬,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 문제 : 이친수 (Python) 0과 1로만 이루어진 수를 이진수라 한다. 이러한 이진수 중 특별한 성질을 갖는 것들이 있는데, 이들을 이친수(pinary number)라 한다. 이친수는 다음의 성질을 만족한다. 이친수는 0으로 시작하지 않는다. 이친수에서는 1이 두 번 연속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즉, 11을 부분 문자열로 갖지 않는다. 예를 들면 1, 10, 100, 101, 1000, 1001 등이 이친수가 된다. 하지만 0010101이나 101101은 각각 1, 2번 규칙에 위배되므로 이친수가 아니다. N(1 ≤ N ≤ 90)이 주어졌을 때, N자리 이친수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N자리 이친수의 개수..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