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 306

[백준 1966번] 프린터 큐 (Python) (list(enumerate(l1, start=0)) 리스트 L1값들과 인덱스값을 튜플로 만들어 저장하기)

> 파이썬, 구현, 자료 구조, 시뮬레이션, 큐 📖 문제 : 프린터 큐 (Python) 여러분도 알다시피 여러분의 프린터 기기는 여러분이 인쇄하고자 하는 문서를 인쇄 명령을 받은 ‘순서대로’, 즉 먼저 요청된 것을 먼저 인쇄한다. 여러 개의 문서가 쌓인다면 Queue 자료구조에 쌓여서 FIFO - First In First Out - 에 따라 인쇄가 되게 된다. 하지만 상근이는 새로운 프린터기 내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는데, 이 프린터기는 다음과 같은 조건에 따라 인쇄를 하게 된다. 현재 Queue의 가장 앞에 있는 문서의 ‘중요도’를 확인한다. 나머지 문서들 중 현재 문서보다 중요도가 높은 문서가 하나라도 있다면, 이 문서를 인쇄하지 않고 Queue의 가장 뒤에 재배치 한다. 그렇지 않다면 바로 인쇄를..

[백준 1817번] 짐 챙기는 숌 (Python)

> 파이썬, 구현, 그리디 알고리즘 📖 문제 : 짐 챙기는 숌 (Python) 숌은 짐을 챙겨서 겨울캠프에서 집으로 가려고 한다. 근데 숌은 공부를 많이 하러 캠프에 온 것이기 때문에 책을 엄청나게 많이 가지고 왔다. 숌은 이 책을 방에 탑처럼 쌓아 놨다. 숌은 책을 박스에 차곡차곡 넣어서 택배로 미리 보내려고 한다. 책은 탑처럼 차곡차곡 쌓여있기 때문에, 차례대로 박스에 넣을 수밖에 없다. 각각의 책은 무게가 있다. 그리고 박스는 최대 넣을수 있는 무게가 있다. 숌이 필요한 박스의 개수의 최솟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책의 개수 N과 박스에 넣을 수 있는 최대 무게 M이 주어진다. N은 0보다 크거나 같고 5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고, M은 1,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

[프로그래머스 SQL(JOIN)] 특정 기간동안 대여 가능한 자동차들의 대여비용 구하기

📖 문제 : 특정 기간동안 대여 가능한 자동차들의 대여비용 구하기 문제 설명 다음은 어느 자동차 대여 회사에서 대여 중인 자동차들의 정보를 담은 CAR_RENTAL_COMPANY_CAR 테이블과 자동차 대여 기록 정보를 담은 CAR_RENTAL_COMPANY_RENTAL_HISTORY 테이블과 자동차 종류 별 대여 기간 종류 별 할인 정책 정보를 담은 CAR_RENTAL_COMPANY_DISCOUNT_PLAN 테이블 입니다. CAR_RENTAL_COMPANY_CAR 테이블은 아래와 같은 구조로 되어있으며, CAR_ID, CAR_TYPE, DAILY_FEE, OPTIONS 는 각각 자동차 ID, 자동차 종류, 일일 대여 요금(원), 자동차 옵션 리스트를 나타냅니다. Column name Type Nulla..

[프로그래머스 SQL(JOIN)] 오랜 기간 보호한 동물(1)

📖 문제 : 오랜 기간 보호한 동물(1) 문제 설명 ANIMAL_INS 테이블은 동물 보호소에 들어온 동물의 정보를 담은 테이블입니다. ANIMAL_INS 테이블 구조는 다음과 같으며, ANIMAL_ID, ANIMAL_TYPE, DATETIME, INTAKE_CONDITION, NAME, SEX_UPON_INTAKE는 각각 동물의 아이디, 생물 종, 보호 시작일, 보호 시작 시 상태, 이름, 성별 및 중성화 여부를 나타냅니다. NAME TYPE NULLABLE ANIMAL_ID VARCHAR(N) FALSE ANIMAL_TYPE VARCHAR(N) FALSE DATETIME DATETIME FALSE INTAKE_CONDITION VARCHAR(N) FALSE NAME VARCHAR(N) TRUE SEX..

[백준 16206번] 롤케이크 (Python)

> 파이썬, 그리디 알고리즘 📖 문제 : 롤케이크 (Python) 오늘은 재현이의 생일이다. 재현이는 친구 N명에게 롤케이크를 1개씩 선물로 받았다. 롤케이크의 길이는 A1, A2, ..., AN이다. 재현이는 길이가 10인 롤케이크만 먹는다. 따라서, 롤케이크를 잘라서 길이가 10인 롤케이크를 최대한 많이 만들려고 한다. 롤케이크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서 자를 수 있다. 자를 롤케이크를 하나 고른다. 길이가 1보다 큰 롤케이크만 자를 수 있다. 이때, 고른 롤케이크의 길이를 x라고 한다. 0보다 크고, x보다 작은 자연수 y를 고른다. 롤케이크를 잘라 길이가 y, x-y인 롤케이크 두 개로 만든다. 재현이는 롤케이크를 최대 M번 자를 수 있다. 이때, 만들 수 있는 길이가 10인 롤케이크 개수의 최..

[백준 20300번] 서강근육맨 (Python)

> 파이썬, 그리디 알고리즘, 정렬 📖 문제 : 서강근육맨 (Python) 로니 콜먼 동영상을 보고 보디빌더가 되기로 결심한 향빈이는 PT 상담을 받으러 서강헬스클럽에 갔다. 향빈이가 서강헬스클럽을 선택한 이유는 PT를 받을 때 사용하는 운동기구를 회원이 선택할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 하지만, 서강헬스클럽은 항상 사람이 많아서 PT를 한 번 받을 때 운동기구를 최대 두 개까지만 선택할 수 있다. 헬스장에 있는 N개의 운동기구를 한 번씩 사용해보고 싶은 향빈이는 PT를 받을 때마다 이전에 사용하지 않았던 운동기구를 선택하기로 계획을 세웠다. 그리고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PT를 받을 때 운동기구를 되도록이면 두 개를 사용하기로 했다. 예를 들어, 헬스장에 총 10개의 운동기구가 있을 경우 PT를 5번 받으..

[백준 4963번] 섬의 개수 (Python) (재귀 문제를 푼다면 ! 항상 필수로sys.setrecursionlimit(100000)으로 재귀 제한을 없애주기)

> 파이썬, 그래프 이론, 그래프 탐색, 너비 우선 탐색, 깊이 우선 탐색 📖 문제 : 섬의 개수 (Python)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져 있는 섬과 바다 지도가 주어진다. 섬의 개수를 세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한 정사각형과 가로, 세로 또는 대각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사각형은 걸어갈 수 있는 사각형이다. 두 정사각형이 같은 섬에 있으려면, 한 정사각형에서 다른 정사각형으로 걸어서 갈 수 있는 경로가 있어야 한다. 지도는 바다로 둘러싸여 있으며, 지도 밖으로 나갈 수 없다. 입력 입력은 여러 개의 테스트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다.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지도의 너비 w와 높이 h가 주어진다. w와 h는 50보다 작거나 같은 양의 정수이다. 둘째 줄부터 h개 줄에는 지도가 주어진다. 1은 땅, 0은 ..

[백준 1012번] 유기농 배추 (Python)

> 파이썬, 그래프 이론, 그래프 탐색, 너비 우선 탐색, 깊이 우선 탐색 📖 문제 : 유기농 배추 (Python) 차세대 영농인 한나는 강원도 고랭지에서 유기농 배추를 재배하기로 하였다. 농약을 쓰지 않고 배추를 재배하려면 배추를 해충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한나는 해충 방지에 효과적인 배추흰지렁이를 구입하기로 결심한다. 이 지렁이는 배추근처에 서식하며 해충을 잡아 먹음으로써 배추를 보호한다. 특히, 어떤 배추에 배추흰지렁이가 한 마리라도 살고 있으면 이 지렁이는 인접한 다른 배추로 이동할 수 있어, 그 배추들 역시 해충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한 배추의 상하좌우 네 방향에 다른 배추가 위치한 경우에 서로 인접해있는 것이다. 한나가 배추를 재배하는 땅은 고르지 못해서 배추를 군데군데..

[백준 2953번] 배 (Python)

> 파이썬, 수학, 그리디 알고리즘, 정수론 📖 문제 : 배 (Python) 해빈이는 배가 한 척이라도 올까 말까 한 작은 항구 마을에 산다. 그런데 어느 날, 마을을 방문한 적이 있는 모든 배가 한꺼번에 마을을 방문한 날이 있었다. 해빈이는 이 날을 기념해 1일로 센다. 그리고 배가 한 척이라도 마을에 온 날을 신나는 날이라고 하고 특별히 리스트에 기록해두었다. 해빈이는 마을에 방문하는 배들을 관찰한 결과, 이들이 일정한 날자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항구를 방문한다는 사실을 알아차렸다. 예를 들어, 간격이 3인 배는 1일, 4일, 7일, 10일 등에 해빈이의 마을에 온다. 오늘은 신나는 날이다. 오늘을 포함해서 해빈이의 신나는 날 리스트가 주어질 때, 방문한 배의 최소 수를 구하라. (해빈이는 모든 신..

[백준 20363번] 당근 키우기 (Python)

> 파이썬, 수학, 그리디 알고리즘 📖 문제 : 당근 키우기 (Python) 꽉꽉나라의 농부 오리는 당근을 키우려고 한다. 꽉꽉나라에서는 씨앗이 X만큼의 온기와 Y만큼의 수분을 가지면 당근으로 자란다고 한다. 씨앗은 햇빛을 1번 받을 때마다 1만큼의 온기가 증가하고, 햇빛을 10번 받을 때마다 1만큼의 수분이 감소한다. 씨앗은 물을 1번 받을 때마다 1만큼의 수분이 증가하고, 물을 10번 받을 때마다 1만큼의 온기가 감소한다. 만약, 감소되어야 하는 온기 혹은 수분이 이미 0이라면 감소되지 않는다. 즉, 온기와 수분은 음수가 되지 않는다. 맨 처음 씨앗의 온기와 수분은 0이다. 오리는 당근을 효율적으로 키우기 위해, 당근이 자랄 때까지 햇빛과 물을 주는 횟수의 합을 최소화하려고 한다. 예를 들어, X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