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썬, 구현, 시뮬레이션
📖 문제 : 미세먼지 안녕 !(Python)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구사과는 공기청정기를 설치하려고 한다. 공기청정기의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해 구사과는 집을 크기가 R×C인 격자판으로 나타냈고, 1×1 크기의 칸으로 나눴다. 구사과는 뛰어난 코딩 실력을 이용해 각 칸 (r, c)에 있는 미세먼지의 양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r, c)는 r행 c열을 의미한다.
공기청정기는 항상 1번 열에 설치되어 있고, 크기는 두 행을 차지한다. 공기청정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칸에는 미세먼지가 있고, (r, c)에 있는 미세먼지의 양은 Ar,c이다.
1초 동안 아래 적힌 일이 순서대로 일어난다.
- 미세먼지가 확산된다. 확산은 미세먼지가 있는 모든 칸에서 동시에 일어난다.
- (r, c)에 있는 미세먼지는 인접한 네 방향으로 확산된다.
- 인접한 방향에 공기청정기가 있거나, 칸이 없으면 그 방향으로는 확산이 일어나지 않는다.
- 확산되는 양은 Ar,c/5이고 소수점은 버린다.
- (r, c)에 남은 미세먼지의 양은 Ar,c - (Ar,c/5)×(확산된 방향의 개수) 이다.
- 공기청정기가 작동한다.
- 공기청정기에서는 바람이 나온다.
- 위쪽 공기청정기의 바람은 반시계방향으로 순환하고, 아래쪽 공기청정기의 바람은 시계방향으로 순환한다.
- 바람이 불면 미세먼지가 바람의 방향대로 모두 한 칸씩 이동한다.
- 공기청정기에서 부는 바람은 미세먼지가 없는 바람이고, 공기청정기로 들어간 미세먼지는 모두 정화된다.
다음은 확산의 예시이다.
왼쪽과 위쪽에 칸이 없기 때문에, 두 방향으로만 확산이 일어났다.
인접한 네 방향으로 모두 확산이 일어난다.
공기청정기가 있는 칸으로는 확산이 일어나지 않는다.
공기청정기의 바람은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순환한다.
방의 정보가 주어졌을 때, T초가 지난 후 구사과의 방에 남아있는 미세먼지의 양을 구해보자.
입력
첫째 줄에 R, C, T (6 ≤ R, C ≤ 50, 1 ≤ T ≤ 1,000) 가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R개의 줄에 Ar,c (-1 ≤ Ar,c ≤ 1,000)가 주어진다.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곳은 Ar,c가 -1이고, 나머지 값은 미세먼지의 양이다. -1은 2번 위아래로 붙어져 있고, 가장 윗 행, 아랫 행과 두 칸이상 떨어져 있다.
출력
첫째 줄에 T초가 지난 후 구사과 방에 남아있는 미세먼지의 양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7 8 1
0 0 0 0 0 0 0 9
0 0 0 0 3 0 0 8
-1 0 5 0 0 0 22 0
-1 8 0 0 0 0 0 0
0 0 0 0 0 10 43 0
0 0 5 0 15 0 0 0
0 0 40 0 0 0 20 0
예제 출력 1
188
미세먼지의 확산이 일어나면 다음과 같은 상태가 된다.
공기청정기가 작동한 이후 상태는 아래와 같다.
내 코드
import copy
dy = [0, -1, 0, 1]
dx = [1, 0, -1, 0]
R, C, T = map(int, input().split())
board = []
cleaner = []
result = 0
for i in range(R):
temp_board = list(map(int, input().split()))
board.append(temp_board)
for j in range(C):
if board[i][j] == -1:
# 공기 청정기 위치 저장
cleaner.append([i, j])
# 미세먼지 확산
def dust_spread():
global board
tboard = copy.deepcopy(board)
for y in range(R):
for x in range(C):
# 공기청정기도 아니면서, 미세먼지인 경우 확산
if board[y][x] != 0 and board[y][x] != -1:
cnt = 0
dust = board[y][x] // 5
for i in range(4):
yy = y + dy[i]
xx = x + dx[i]
if 0 <= yy < R and 0 <= xx < C and board[yy][xx] != -1:
cnt += 1
tboard[yy][xx] += dust
tboard[y][x] -= board[y][x] // 5 * cnt
board = copy.deepcopy(tboard)
# 공기 청정기 작동
def cleaner_activate():
global board, R, C
tboard = copy.deepcopy(board)
# 반 시계 방향 작동
cleaner1 = cleaner[0]
# 공기청정기에서 바람 나오는 부분
tboard[cleaner1[0]][cleaner1[1] + 1] = 0
# 가로 이동 (-> 방향 가로)
tboard[cleaner1[0]][cleaner1[1] + 2:] = board[cleaner1[0]][cleaner1[1] + 1:-1]
# 세로 이동 (위로 가는 방향 세로)
for i in range(cleaner1[0]):
tboard[i][C - 1] = board[i + 1][C - 1]
# 가로 이동 (<- 방향 가로)
if board[0][0] != -1:
tboard[0][:C - 1] = board[0][1:C]
# 세로 이동 (아래로 가는 방향 세로)
for i in range(1, cleaner1[0]):
tboard[i][0] = board[i - 1][0]
else:
tboard[0][1:C - 1] = board[0][2:C]
# 시계 방향 작동
cleaner2 = cleaner[1]
# 공기청정기에서 바람 나오는 부분
tboard[cleaner2[0]][cleaner2[1] + 1] = 0
# 가로 이동 (-> 방향 가로)
tboard[cleaner2[0]][cleaner2[1] + 2:] = board[cleaner2[0]][cleaner2[1] + 1:-1]
# 세로 이동 (아래로 가는 방향 세로)
for i in range(cleaner2[0] + 1, R):
tboard[i][C - 1] = board[i - 1][C - 1]
# 가로 이동 (<- 방향 가로)
if board[R - 1][0] != -1:
tboard[R - 1][0:-1] = board[R - 1][1:]
# 세로 이동 (위로 가는 방향 세로)
for i in range(cleaner2[0] + 1, R - 1):
tboard[i][0] = board[i + 1][0]
else:
tboard[R - 1][1:-1] = board[R - 1][2:]
board = copy.deepcopy(tboard)
for _ in range(T):
dust_spread()
cleaner_activate()
# 남은 미세먼지 총량 구하기
for i in range(R):
for j in range(C):
if board[i][j] != 0:
result += board[i][j]
# 공기청정기를 제외한 미세먼지 총량
print(result + 2)
Point ! ⭐️
- 코드에 대한 설명은 주석으로 어느정도 설명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주의할 점은 아래의 코드이다!
위의 코드 처럼 if문을 사용한 이유는
만약 위의 그림에서 공기 청정기가 빨간색 또는 파란색 부분에 있게 되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가는 <- 방향의 마지막 칸에는 공기 청정기가 있기 때문에 그 경우를 고려해주기 위한 코드이다 !! 또한, 만약 그렇게 되면 1열의 아래로 가거나 위로 가는 회전을 안해도 되는 경우가 생기는 것이다 ! (그럴경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하나만 그러겠죠 ??)
백준
https://www.acmicpc.net/problem/17144
'Algorithm (Python, Java, SQL) > BaekJ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2636번] 치즈 (Python) (0) | 2023.10.24 |
---|---|
[백준 2870번] 수학숙제 (Python) (0) | 2023.10.24 |
[백준 1713번] 후보 추천하기 (Python) (2) | 2023.10.19 |
[백준 15683번] 감시 (Python) (2) | 2023.10.19 |
[백준 2578번] 빙고 (Python) (2) | 2023.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