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썬, 구현, 그래프 이론, 그래프 탐색, 너비 우선 탐색, 깊이 우선 탐색
📖 문제 : 빙산 (Python)
지구 온난화로 인하여 북극의 빙산이 녹고 있다. 빙산을 그림 1과 같이 2차원 배열에 표시한다고 하자. 빙산의 각 부분별 높이 정보는 배열의 각 칸에 양의 정수로 저장된다. 빙산 이외의 바다에 해당되는 칸에는 0이 저장된다. 그림 1에서 빈칸은 모두 0으로 채워져 있다고 생각한다.
2 | 4 | 5 | 3 | |||
3 | 2 | 5 | 2 | |||
7 | 6 | 2 | 4 | |||
그림 1. 행의 개수가 5이고 열의 개수가 7인 2차원 배열에 저장된 빙산의 높이 정보
빙산의 높이는 바닷물에 많이 접해있는 부분에서 더 빨리 줄어들기 때문에, 배열에서 빙산의 각 부분에 해당되는 칸에 있는 높이는 일년마다 그 칸에 동서남북 네 방향으로 붙어있는 0이 저장된 칸의 개수만큼 줄어든다. 단, 각 칸에 저장된 높이는 0보다 더 줄어들지 않는다. 바닷물은 호수처럼 빙산에 둘러싸여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그림 1의 빙산은 일년후에 그림 2와 같이 변형된다.
그림 3은 그림 1의 빙산이 2년 후에 변한 모습을 보여준다. 2차원 배열에서 동서남북 방향으로 붙어있는 칸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고 말한다. 따라서 그림 2의 빙산은 한 덩어리이지만, 그림 3의 빙산은 세 덩어리로 분리되어 있다.
2 | 4 | 1 | ||||
1 | 1 | 5 | ||||
5 | 4 | 1 | 2 | |||
그림 2
3 | ||||||
4 | ||||||
3 | 2 | |||||
그림 3
한 덩어리의 빙산이 주어질 때, 이 빙산이 두 덩어리 이상으로 분리되는 최초의 시간(년)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그림 1의 빙산에 대해서는 2가 답이다. 만일 전부 다 녹을 때까지 두 덩어리 이상으로 분리되지 않으면 프로그램은 0을 출력한다.
입력
첫 줄에는 이차원 배열의 행의 개수와 열의 개수를 나타내는 두 정수 N과 M이 한 개의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N과 M은 3 이상 300 이하이다. 그 다음 N개의 줄에는 각 줄마다 배열의 각 행을 나타내는 M개의 정수가 한 개의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각 칸에 들어가는 값은 0 이상 10 이하이다. 배열에서 빙산이 차지하는 칸의 개수, 즉, 1 이상의 정수가 들어가는 칸의 개수는 10,000 개 이하이다. 배열의 첫 번째 행과 열, 마지막 행과 열에는 항상 0으로 채워진다.
출력
첫 줄에 빙산이 분리되는 최초의 시간(년)을 출력한다. 만일 빙산이 다 녹을 때까지 분리되지 않으면 0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5 7
0 0 0 0 0 0 0
0 2 4 5 3 0 0
0 3 0 2 5 2 0
0 7 6 2 4 0 0
0 0 0 0 0 0 0
예제 출력 1
2
내 코드
import sys
import copy
input = sys.stdin.readline
# 각 빙산마다 접해있는 바닷물의 수에 따라 빙산을 녹임.
def melt_ice():
ice_to_water = [] # 빙산을 녹였는데 그 빙산이 물이 되어버렸을 경우에 그 위치를 담을 리스트
for c in range(len(ice)):
x, y = ice[c][0], ice[c][1]
# 빙산이 아니라면 아래의 코드(1)에 바닷물로 취급해주기 때문에, 빙산이였다가 바닷물이 되지 않은 빙산만 녹여준다.
if water_cnt[x][y] != 0:
# 만약 빙산에 위치에 바다에 접해있는 수가 더 크면 그 자리는 마이너스 값이 되므로 0인 바닷물로 만들어준다.
if water_cnt[x][y] > board[x][y]:
board[x][y] = 0
else: # 그렇지 않다면 바닷물의 수 만큼 빙산을 녹여준다.
board[x][y] -= water_cnt[x][y]
if board[x][y] == 0: # 빙산이 바닷물이 되었을 경우, ice_to_water 리스트에 추가
ice_to_water.append((x, y))
# 빙산을 녹이다가 바닷물이 된 자리가 있을 경우
for w in range(len(ice_to_water)):
x, y = ice_to_water[w][0], ice_to_water[w][1]
water_cnt[x][y] = 0 # 더이상 빙산이 아니기 때문에 0으로 바닷물로 취급해준다. ------ (1)
ice.remove((x, y))
# # 빙산이 바닷물이 되었을 경우, 그 주위에 있는 빙산에 접해있는 바닷물의 수를 +1 씩 해주어야 한다.
for t in range(4):
xx = x + dx[t]
yy = y + dy[t]
if 0 <= xx < N and 0 <= yy < M and board[xx][yy] != 0:
water_cnt[xx][yy] += 1
# ice 수를 리턴함에 따라서 빙산이 다 녹았는데도, 빙산 덩어리가 2개가 아닌 경우를 판단
return len(ice)
# 빙산 덩어리의 갯수를 리턴하는 함수
def ice_group():
queue = []
visited = copy.deepcopy(board) # 방문한 자리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리스트
group_cnt = 0 # 빙산 덩어리의 수
for a in range(N):
for b in range(M):
if visited[a][b] != 0:
group_cnt += 1 # 덩어리 하나가 끝날 때마다 cnt + 1
queue.append((a, b))
while queue:
x, y = queue.pop()
for i in range(4):
xx = x + dx[i]
yy = y + dy[i]
if 0 <= xx < N and 0 <= yy < M and board[xx][yy] != 0 and visited[xx][yy] != 0:
visited[xx][yy] = 0
queue.append((xx, yy))
# 빙산의 덩어리 수 리턴
return group_cnt
N, M = map(int, input().split())
board = []
for i in range(N):
board.append(list(map(int, input().split())))
ice = [] # ice 의 위치만을 저장할 리스트 : 매번 전체 board 를 탐색하기엔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림.
water_cnt = [[0] * M for _ in range(N)] # 주위에 바닷물이 접해있는 수
dx = [0, 1, 0, -1]
dy = [1, 0, -1, 0]
# 제일 처음 빙산이 어디에 있고, 각 빙산자리에 바닷물이 얼마나 접해있는지에 대해 탐색하는 반복문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M):
if board[i][j] != 0:
cnt = 0
for k in range(4):
xx = i + dx[k]
yy = j + dy[k]
if 0 <= xx < N and 0 <= yy < M and board[xx][yy] == 0:
cnt += 1
ice.append((i, j)) # 여기서 1의 의미는 빙산이라는 뜻, 0이면 water가 됨.
water_cnt[i][j] = cnt
# 빙산 덩어리가 두 개 이상일 때까지 반복 !
year = 0
# 0년이여도, 빙산 덩어리가 2개일 수도 있으므로
if ice_group() > 1:
print(year)
# 아니라면 1년씩 증가해가며 빙산을 바닷물이 접해있는 수마다 빙산을 녹여줌.
else:
while True:
# 1년씩 증가
year += 1
# 빙산을 다 녹일때까지도 빙산 덩어리가 2개 이상이 안되었을 경우
if melt_ice() == 0:
print(0)
break
# 빙산 덩어리의 수가 2개 이상일 경우 결과값인 year 출력
if ice_group() > 1:
print(year)
break
Point ! ⭐️
3일 전에 못풀었던 문제 겨우 풀었네요 .. 한 2시간동안 ? 이것만 푼듯 .. !! 그래도 너무 뿌듯한거 있죠 ..
일단 3일 전에 풀었던 방식은 매년 빙산이 녹을 때마다 매번 전체 board 리스트를 새로 빙산을 탐색해서 빙산의 덩어리가 2개 이상이 될 때까지 탐색했던 방식으로 해서 시간 초과가 났는데
일단, 맨 처음 전체 리스트에서 빙산을 탐색할 때, 어디에 있는지 그 주위에 얼마나 바닷물과 둘러싸여있는지에 대한 데이터를 다음번엔 전체 board 리스트가 아닌 빙산 데이터만 탐색할 수 있도록 빙산 데이터만 뽑아둔 리스트를 따로 만든 방식으로 진행했습니다.
추가로 시간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
1)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2) PyPy3 언어로 채점
3) 빙산이 물로 바꼈을 경우 빙산데이터만 뽑아둔 리스트에서 그때마다 그 빙산 데이터를 remove
의 세가지를 추가하여 구현했습니다.
백준
https://www.acmicpc.net/problem/2573
2573번: 빙산
첫 줄에는 이차원 배열의 행의 개수와 열의 개수를 나타내는 두 정수 N과 M이 한 개의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N과 M은 3 이상 300 이하이다. 그 다음 N개의 줄에는 각 줄마다 배열의 각 행을
www.acmicpc.net
'Algorithm (Python, Java, SQL) > BaekJ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2667번] 단지 번호 붙이기 (Python) (1) | 2023.08.15 |
---|---|
[백준 1260번] DFS와 BFS (Python) (1) | 2023.08.15 |
[백준 2812번] 크게 만들기 (Python) (2) | 2023.08.10 |
[백준 9251번] LCS (Python) (6) | 2023.08.09 |
[백준 15903번] 카드 합체 놀이 (Python) (0) | 2023.08.09 |